SSR 과 CSR에 대하여 자세히 짚어보자.
우선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보자.
SSR (Server-Side Rendering)
서버 사이드 렌더링 (SSR)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로딩을 서버에서 처리하는 방식. SSR은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근했을 때, 서버에서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HTML로 완성하여 브라우저에 전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.
동작 원리
-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근하면 서버는 요청을 받아 해당 페이지의 데이터를 가져옴.
- 서버는 가져온 데이터를 이용하여 완전한 HTML 문서를 생성하고,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함.
- 브라우저는 받은 HTML 문서를 렌더링하여 초기 화면을 표시함.
- 이후 필요한 데이터가 있을 때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하여 데이터를 가져와 뷰를 업데이트함.
장단점
장점:
- SEO(Search Engine Optimization)에 유리하며, 검색 엔진 최적화가 용이함.
- 초기 로딩 속도가 빠르며, 첫 화면 표시가 빠름.
단점:
- 서버 부하가 증가할 수 있음.
- 뷰 업데이트 시 서버 요청이 필요하므로 렌더링이 느릴 수 있음.
CSR (Client-Side Rendering)
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(CSR)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로딩을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에서 처리하는 방식. CSR은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사용하여 초기 페이지를 렌더링하고, 필요한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요청하여 동적으로 뷰를 업데이트한다.
동작 원리
-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 접근하면 브라우저는 초기 HTML과 JavaScript를 로드함.
- 브라우저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초기 뷰를 렌더링하고,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에 요청함.
- 서버는 데이터를 응답하고, 브라우저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뷰를 업데이트함.
장단점
장점:
-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며, 인터랙션에 뛰어남.
- 서버 부하가 감소함.
단점:
- 초기 로딩 속도가 느리며, 첫 화면 표시가 느릴 수 있음.
- SEO 최적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.
The Benefits of Server Side Rendering Over Client Side Rendering
Most of our pages on walmart.com are using server side rendering (henceforth SSR) with only a few unique exceptions.
medium.com
결론
SSR과 CSR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로딩 방식에 차이를 가지고 있다. 프로젝트의 요구 사항과 목표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개발해야 한다.
'기타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ursor MCP 연동 (feat: github, chrome) (0) | 2025.04.04 |
---|---|
티스토리 썸네일 오류? "> ? (0) | 2023.08.04 |